우당 이회영선생교육문화재단
민지(民智)를 개발하고 체육을 겸비하자
-
2010년~
-
-
- 2020.12.00
- 제2회 우당상 영석상 시상식
- 우당상 : 김자동 임시정부기념사업회 회장, 영석상 : ㈜애그리치 글로벌
- 영석공로상 : 조굉한 남양주시장 - 2020.12.00
- 현재, 재단 기본 재산 13억 원
- 연 장학생 : 총 2,257명, 14억 700 만원 지급
- 독립운동사 연구학자 및 단체 지원 : 21명, 1억 1,500만원
-
-
- 2019.12.00
- 제1회 우당상 영석상 시상식(세종문화회관 대연회장)
우당상 : 김성수 성공회 대주교, 영석상 : ㈜ 풀무원 - 2019.07.00
- 5일, 우당장학회를 우당이회영선생교육문화재단으로 개편
- 장학금 지급 대상으로 독립유공자 후손을 삭제하고 독립운동사를 연구 하는 대학생(대학원생 포함)을 선발 지급
- 시상사업을 추가하고, 우당상 및 영석상 시상 추진
-
2000년
-
-
- 2009.01.00
- 정관을 개정하여 지원 범위를 확대하여 우당선생 재조명사업 지원
- 우당선생 추모식 지원 : 매년 11월 17일
- 우당학술회의 지원 : 매년 10월 중
- 역사문화강좌 : 매월 시민교양강좌로 진행(2018년 현재 70회)
- 청소년역사교실 : 연 4개기, 4주과정(12시간), 고교생 대상 독립운동사 중점 강의 및 답사 (2020년 현재 34기 수료)
- 독립운동사교육연구회 : 역사교사 연구단체로 서울교육청에 등록
-
-
- 2006.03.00
- 독립운동가 후손돕기 운동을 법국민적으로 펼치기 위하여 김수환 추기경 등 각계 지도자들이 참여하여 모금운동 전개
- 후원자를 현충회원으로 명명하고, 매월 1만 원 이상 자동이체
-
1990년
-
-
- 1999.01.00
- 전국 1,600여개 장학회 중 독립유공자 후손들을 돕는 유일한 장학회로, 보훈처로부터 감사패 수상
-
-
- 1998.01.00
- 이종찬 이사장이 공직 취임에 따라 후임으로 윤장순 이사장 취임
-
-
- 1995.09.00
- 종탑장학회를 우당장학회로 개명하고, 독립운동가 후손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도록 정관 개정
- 장학금 후원자에게는 소득세법 및 법인세금 감면단체로 공고
-
1980년
-
-
- 1984.09.00
- 18일, “독립운동을 위해서는 먼저 백성을 깨우쳐야 한다.”는
우당 정신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울교육청 승인으로 (재)종탑장학회 설립